거울 원리
거울처럼 나를 비춰주는 가족, 비난하기 전에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기
사춘기 딸아이는 자기 맘에만 들지 않으면, 소리 지르고 자기 방으로 들어가 버려요. 그러면 남편은 어서 나오라고 소리 지르고 나는 중간에서 어쩌지 못하고 둘을 말리는데 정신없어요.
우리는 자신을 잘 알고 있지만 사실 자기 얼굴에 뭐가 묻어있는지 머리 모양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혼자서는 알 수 없어요. 거울에 비친 나의 모습을 볼 때서야 비로소 얼굴에 묻어있는 검댕이나 흐트러진 머리를 알아차릴 수 있죠. 우리의 마음도 이와 같아서 나의 마음을 비춰줄 거울이 없으면 내가 의식하고 있는 내 모습 즉 자신이 볼 수 있는 자신의 모습만 알 수 있을 뿐, 마음의 뒤편에 감춰져 있던 나의 욕구, 감정, 사고, 행동을 알아차릴 수 없어요.
모든 일이 내 뜻대로 될 때는 내 자신의 감춰져있던 모습들이 잘 드러나지 않아요. 그러다 다른 사람과의 갈등이 생기면 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이렇게 저렇게 생각도 해보지만, 보통은 그 대상을 피하거나 그 대상에게 분노를 쏟아낼 뿐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는 노력을 계속하지는 않아요. 사회생활에서 그 대상과의 관계를 끊고 안 보면 그만이니까요.
하지만 가족관계를 아무리 화가 나고 불만족스러워도 관계를 끊어내기 어렵지요. 그래서 더 상대방을 고치려고 노력하게 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상대방의 모습이 고쳐지지 않을 때 괴롭고 힘들어요. 가족을 고치려고 아무리 노력해도 고쳐지지 않는 이유는 가족은 나의 거울이기 때문이에요. 거울에 맺힌 짜증내고, 화내고, 불만족스러운 태도를 보이는 그 대상을 고치려고 내가 인상을 쓰면 거울인 가족도 인상을 써요. 내가 실망스러운 표정을 짓고, 한숨을 쉬면 상대방도 실망하고 좌절하는 표정과 태도를 지어요. 내가 비난하는 태도를 취하면 상대방도 비난하는 태도를 취해요.
이런 얘기를 하면 많은 사람들이 나는 상대방에게 저런 태도를 취한 적이 없다고 말해요. 하지만 그건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오해예요. 요즘 TV 프로그램을 보면 상담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와요. 상담실에 들어온 부부나 부모는 처음에 문제의 대상에 대해서 말을 많이 해요. 이런 행동이 문제고 저런 행동이 문제라고 해요. 그러다가 일상을 관찰하는 관찰 카메라로 일상을 살펴보면, 의뢰했던 부모나 배우자가 깜짝 놀라요. 자신의 표정이 그렇게도 냉담했음을, 자신이 크게 소리 지르고 있음을, 자신이 그렇게 상대방을 비난하고, 상대방의 마음은 보려 하지 않고 자기주장만 하고 있음을 보고 나서는 깜짝 놀라지요.
상담실에서 종종 쓰는 방법 중에 서로의 역할을 바꿔서 둘이 문제가 됐던 상황을 다시 연출해보도록 할 때가 있어요. 남편이 아내 역할을, 아내가 남편 역할을 하면서 부부가 오늘 문제라고 했던 사건을 그대로 재연해보도록 하는 거예요. 그럴 때 부부는 상대방의 역할을 하면서 겸연쩍어해요. 나는 진짜 그렇게는 말 안 했다 하시면서 상대방의 표현이 과하다고 말하지만, 사실 그때 상대방이 표현하는 나의 모습이 바로 상대방에게 비친 내 진짜 모습이에요.
가족 내에서 보이는 가족들의 의사소통방법이나 서로에 대한 태도는 외부에서 배워온 것이 아니에요. 배우자들의 원래 성격과 태도는 그들이 자라온 환경에서 형성된 것이 많지만, 이것은 다시 부부의 상호작용 속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게 돼요. 상대방에게 이해하기 힘든 모습, 태도, 습관에 대해 대응하는 나의 반응 방식의 문제로 갈등은 반복되고, 서로의 탓을 하면서, 정작 자신의 모습은 보지 못하는 문제가 반복돼요. 자녀와의 갈등 역시 자녀에게 대하는 자신의 부정적인 태도가 자녀를 통해서 비치지만 정작 본인은 그것을 인정할 수 없어요.
자신을 가장 괴롭게 하는 것은 가족들의 모습에서 보이는 자신의 좌절된 욕구와 자신이 감추고 싶어 하는 자신의 수치심과 열등감이 보일 때예요. 그럴 때 자신도 모르게 가족들에 대해 격렬하게 비난하고 고치려고 애를 쓰지만, 정작 가족이라는 거울에 비친 자신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애를 써도 가족이라는 거울의 모습이 그대로죠.
가족의 모습 중에 고치고 싶은 여러 모습이 있을 거예요. 일중독, 지나친 음주, 과식, 사치와 과소비, 무모한 운전습관, 지나친 잔소리, 실수를 하고도 사과하지 않고, 자신에 대한 지나친 비판, 휴식이나 여가가 없음, 지나친 자기중심적 태도, 공격적인 태도, 수동적인 태도 등등 많은 부정적인 모습이 눈에 보인다면 먼저 자신이 태도를 점검해 보아야 해요. 자신은 그런 부정적인 태도나 언행이 없는지를 먼저 살펴봐야 해요.
자신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여러 생각들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언행을 먼저 살펴봐야 해요. 문제는 다양한 생각이 아니라, 그 생각이나 감정이 들 때 어떻게 처신하느냐가 핵심이에요. 화가 나면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것은 화가 나느게 아니라, 화났을 때마다 공격적인 행동으로 밖에 표현하지 못하는 그 태도가 문제이기 때문이에요. 걱정하고 불안해하는 마음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럴 때마다 대안을 생각하고 행동으로 옮기느냐, 아니면 계속 생각만 하고 불안하다고만 말하는 태도를 가졌느냐가 핵심이에요.
가족을 자신의 거울이라고 생각하면 해결 방법도 나와요. 화가 날 때마다 소리 지르는 사춘기 딸을 보면서, 자신도 화가 나지만 기다려주고, 화가 가라앉은 다음에 그 문제에 대해 차분히 이야기하는 부모의 태도를 갖게 되면, 딸의 태도도 바뀌어 가요. 딸이 화가 나면 부모가 여유를 잃고 어떻게 해서든 지금 당장 딸의 부정적인 태도를 바꾸려고 더 화를 내거나 잔소리하거나 비판할 때 딸의 태도가 변하지 않아요. 그럴 때의 모습을 관찰카메라로 찍어서 본다면 내가 저렇게 아이를 비난했나 라고 느껴지실 거예요. 자녀나 배우자는 나의 거울이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나의 대처방법, 나의 언행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하시면 나의 거울인 가족들의 언행에도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가족은 내 마음의 가려진 부분을 비춰주는 거울이에요. 가족이 부정적인 태도와 언행을 가졌다면 나의 태도와 언행이 부정적이라는 사실을 비춰주는 거예요. 나를 바꿔야 가족이 바뀌어요.
허그맘 허그인 부천상동센터
> 네이버 예약 바로가기 <
전화 : 032-713-9119
문자 : 010-7532-3119
카카오톡 ID : hugmom31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 허그맘 부천센터
https://www.hugmom.co.kr/branch/main/main.html?jijummid=bucheonsangd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