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시간에는 성인의 애착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항상 내 아이의 애착이 괜찮나? 하는 생각만 하다가 나 자신에 대한 애착을 생각하는 것이 색다르셨을 수도 있어요. 사실 안정애착이나 불안정 애착이나 육아에 힘듦은 똑같이 생기기 마련이에요. 그러나 불안정 애착 부모들이 육아에서 오는 힘듦이 더 크게 느껴지는 건 사실이에요.
많은 부모님들이 자신의 애착유형을 알고 좌절하세요. 또 본인이 불안정 애착인데 제 아이도 불안정 애착이 될 가능성이 큰지 물어보시는데, 안타깝게도 그럴 확률이 커요. 부모가 하는 말과 행동은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줘요. 나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불안정 애착의 패턴으로 내 아이를 대하고 있기 때문에 대물림될 수 있지요. 하지만 방법이 없는 건 아닙니다. 그럼 불안정 애착으로 고민하는 부모를 위한 제안을 보실까요?
① 나의 애착유형을 알고 이해하기(알아차림)
나의 애착유형이 어떤지 그리고 그런 애착 유형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는지 특징을 알고 있는 게 중요해요. 우선 알아차리기가 되어야 그렇게 하지 않는 방법을 알고 노력해볼 수 있어요.
*불안정-회피형의 부모
아이가 문제 행동을 할 시에 깊게 개입하고 싶지 않으며, 아이가 나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의지하려고 할 때 불편감이 들 수 있어요. '자기가 알아서 할 일을 왜 나한테 해달라고 하는 거야?'라는 생각이 들 수 있어요. 또한 부부 사이에도 상대방이 자신의 문제를 이야기하려고 하면 안 들으려고 하거나 겉도는 이야기를 하는 등 회피하는 경향이 있어요. 사실 이러한 타입의 성인은 어렸을 때 부모로부터 위안을 받아본 적이 없기 때문에 정서적인 지지와 수용이 필요해요.
*불안정-저항형의 부모
아이가 문제 행동을 할 경우 허용과 수용의 범위가 적은 편이에요. 부모 스스로 타인에게 사랑받고 싶은 욕구가 많고, 스스로 내가 어렸을 때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한 결핍이 있기 때문에 마음의 여유가 부족해요. 아이의 작은 실수에도 화가 나고, 나혼자 육아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부부관계에서도 갈등이 잦기도 해요. 말이 공격적으로 나가고 거칠게 행동하지만 내면에는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 매우 크기 때문에 충분한 사랑과 지지가 필요해요.
② 아이와 마주할 때에 느껴지는 불편감과 감정은 '내감정'에서 시작된 것임을 인지해요.
안정애착에 필요한 요소는 다양하지만 가장 필요한 요소는 '신뢰감(신뢰를 바탕으로 한 사랑)'이에요. 우리 아이를 믿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가끔 우리 아이가 하는 행동이 미덥지 못해서 지적하고 간섭하거나 방관하진 않으셨나요? 아이는 발달 중에 있는 불완전한 존재예요. 아이의 행동은 아직 발달이 미숙해서 생기는 행동일 뿐 나를 괴롭히려고 하거나 화나게 하려고 하는 행동은 아니에요. 가끔 예외적인 상황도 있지만 대부분은 의도적인 행동은 아니에요. 그러나 내 아이 행동이 의도가 있고, 나를 힘들게 하려는 것이라는 느낌이 든다면 그것은 내 문제로 보아야 해요.
③ 배우자 및 내 아이와 건강한 애착을 재형성(재경험)해요.
안정애착의 경우 이 세상은 믿을만하고 신뢰로운 곳!이라는 믿음과 함께 신뢰감을 발달 형성시켜요. 이와는 반대로 불안정 애착은 이 세상은 불안하고 믿을만한 곳이 되지 못한다는 생각과 함께 불신감을 형성시켜요. 불안정 애착 부모의 경우 남편을 믿지 못하고, 아이도 믿지 못하여 간섭하고 지적하는 등의 모습으로 소통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요. 이에 안정애착의 필요한 부분들부터 내 가족들과 연습해 봐요.
첫째, 아이나 남편이 힘들어 할 때 지적, 평가하지 말고 옆에서 있는 그대로 이야기를 들어줘요. 있는 그대로를 받아주고, 수용해줘요.
둘째, 남편과 싸우거나 아이와 갈등상황에 있을 때 이전에 있었던 일을 꺼내지 않고, 현재의 문제에만 집중해요.
셋째, 육아나 집안일로 힘든일이 있다면 솔직하게 말하고, 도움을 요청해요. 그리고 그 도움을 온전히 받아들여요.
넷째, 불통이 아닌 소통을 하려고 노력해요. 나의 힘듦이 커서 내 중심적으로 내 이야기만 하지 않고, 상대방의 반응과 이야기를 들으면서 대화하려고 노력해요.
④ 의식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해요.
느끼고 생각하는 주체는 타인이 아닌 나지요. 내가 어떤 경험을 했고, 어떤 생각과 느낌을 하고 있는지는 내가 알 수 있고, 조절할 수 있어요. 불안정 애착의 부모의 경우 문제가 생겼을 때 '내가 해도 어차피 안될 것이다.', '내가 노력해도 아이는 바뀌지 않을 것이다.'와 같이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이 먼저 들 수 있어요. 이런 부정적인 생각은 부정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⑤ 소확행, Love Yourself를 실천해봐요.
불안정 애착의 성인은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없다.'는 생각이 내면에 깔려있어요. 부모로부터 '너는 존재만으로도 소중한 사람이고, 사랑받아 마땅하다.'는 느낌과 말을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자존감도 낮고, 불행감을 자주 느낄 수 있어요. 이에 스스로 나는 사랑받을만한 자격이 있다는 생각을 하고 나 스스로를 대접하고 믿어주시기 바라요. 또한 일상의 소소한 행복과 감사를 통해 나에게 행복을 선물하고 긍정적인 감정들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해요.
부모와 좋은 애착을 형성했던 성인은 아이를 키우는게 상대적으로 덜 힘들 수는 있어요. 그러나 내가 좋은 애착,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진 못했어도 좋은 부모 됨을 고민하고 내 아이에게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를 항상 고민하고 생각하는 지금의 나는 내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한걸음을 시작한 거예요. 완벽한 부모는 없어요. 완벽한 부모가 되려 애쓰지 마세요.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육아가 많이 힘들다면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세요!
방탄소년단이 UN연설에서 한 말 중에 많은 부모님들께 드리고 싶은 메세지가 있어 발췌해봤는데요.
'저는 어제 실수를 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어제의 저도 저입니다. 많은 실수와 잘못을 가지고 있는 오늘의 저 또한 저입니다. 내일 제가 만약 조금 더 현명해진다면, 그 또한 저이겠지요. 이 잘못과 실수들이 지금의 저를, 제 인생이란 별자리 중에서 가장 밝은 별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전 저 자신을 사랑하기로 했습니다. 그것이 지금의 나던, 과거의 나던, 먼 미래에 내 모습이던 말이죠.'
방법은 서툴지만 내 아이에 대해 항상 생각하고 고민하는 나(부모)는 애착의 대물림을 끊을 수 있는 힘이 있는 사람이에요. 내 아이를 사랑하고 잘 키우고 싶으세요? 그럼 나부터 사랑하세요! Love Your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