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천부부심리상담센터_양육 가치관이 다른 우리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저는 30개월 아이를 가진 엄마예요. 최근 저에겐 고민이 생겼어요. 아이가 성장할수록 남편과 저의 마찰이 잦아진다는 것이죠. 아이가 아기 때는 큰 문제는 없었는데, 아이가 자아가 커지고 자신이 하겠다는 자기 고집이 커지면서 아이를 통제하거나 훈육하는 문제로 자주 싸워요. 예를 들어 제가 요리할 때 아이가 와서 가스불을 켜고 만지려고 할 때도 저는 불은 위험하니 절대로 만질 수 없다고 하지만 남편은 아이가 호기심을 갖고 해 보려는 거는 무조건 해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어차피 어른이 옆에 있는데, 뭐가 문제냐는 식이죠. 그리고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훈육을 할 때 아이가 아빠한테 달려가는데, 아이의 아빠는 엄마가 무섭게 했어? 라면서 아빠가 엄마 못하게 해 줄게. 이런 표현을 서슴없이 하기도 해요. 이런 일이 많아질수록 부부싸움이 잦아지고, 아이 앞에서도 큰소리로 싸운 적이 있어요. 양육 가치관이 다른 우리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가장 가까운 부부 사이라도 생각의 다름은 존재해요. 부모 개개인도 타고난 기질이 다르고, 자라온 환경이 다른데 가치관이 같다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에 가깝지 않나 생각하죠.

 

 

먼저, 다르다고 틀린 것이 아니에요.

의견이 다른 것이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고 오히려 아이에게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부모가 합의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이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그러나 서로 내가 맞다고 주장하면서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한 싸움과 비난을 하는 것은 아이의 양육에 있어서 절대로 도움이 되지 않아요.

 

다음으로, 각자 주장하는 양육스타일에 장단점을 적어봐요.

어떤 양육스타일이든지 장단점은 있을 수 있어요. 허용적인 양육스타일의 장단점, 통제적인 양육스타일의 장단점. 그러나 어떤 것이 우리 아이에게 잘 맞고 우리가 잘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기준이 잘 서지 않을 때는 실제로 종이에 적어서 내용을 정리해보는 것이 좋아요.

 

잊지 말아야 할점은, 부모는 한 팀이에요.

부모의 공통된 목표는 무엇일까요? 결국 우리 아이가 즐겁고, 행복하게 잘 자라길 바라는 게 아닐까요? 육아의 방법은 다를 수 있지만 결국 우린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는 한 팀이에요. 어떤 방법으로 목표를 이루는가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결국 우린 같은 목표를 가지고 함께 가는 동반자이지요. 방법적인 문제로 의견 다툼이 있을 경우에는 항상 공통의 목표를 생각해보고 우리의 다툼이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것인지를 또 생각해보고 돌아보는 것도 좋아요.

 

또한, 부모교육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누구 말이 맞냐의 유무를 따지는 것이 아닌 각자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은 채워나가고 강점은 키워나갈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이에 각자가 잘할 수 있는 육아의 강점을 잘 발휘하여 협동한다면 우리 모두에게 좋은 육아를 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남편 혹은 보조 양육자가 양육 가치관이 다르다고 해서 육아에서 물러나게 하지 마세요.

요새는 이전과는 달라서 아빠들의 육아참여에 대한 관심이 많이 커졌어요. 그러나 육아 초부터 육아의 중심은 엄마이기에 아빠들은 자신의 역할을 모르고 어려워해요. 그래서 아내들은 남편들에게 여러 일을 맡겨보지만 남편이 제대로 일을 해내지 못하고, 내가 생각하는 육아 방식과는 다르게 움직이면 육아에서 제외시키거나 물러나게 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이는 좋은 방법이 아니에요. 육아 초기부터 의도적으로 아빠를 육아에 동참시키고, 어설프고 잘하지 못해도 칭찬해주면서 실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해요. 과정은 힘들고 어려울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보면 우리 가족이 모두 화합할 수 있는 해결책이에요.

 

 

여러 부모님께서 이상적인 양육방식이란 어떤 걸까요?라고 질문하면 각기 다른 답을 말하실 겁니다. 같은 집에서도 아빠가 생각하는 이상과 엄마가 생각하는 이상은 다를 수 있어요. 그러나 양육을 하는 목적이 무엇일까요?라고 질문하면 우리 아이가 행복하게 잘 크는 거요!라고 말씀하실 거예요. 생각이 다른 건 얼마든지 대화를 통해 타협과 합의가 가능해요. 갈등이 생길 때마다 우리의 공동의 목표를 되새기시길 바라요.

 

허그맘 허그인 부천상동센터

> 네이버 예약 바로가기 <

 

전화 : 032-713-9119
문자 : 010-7532-3119

카카오톡 ID : hugmom31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 허그맘 부천센터


https://www.hugmom.co.kr/branch/main/main.html?jijummid=bucheonsangd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