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천아동심리상담센터_공부도 학교도 싫다는 우리 아이

 

공부도 하기 싫어하고 학교도 싫다는 아이들이 있지요. 부모 입장에서 볼 때 정말 속상하고 안타까운 상황이에요. 공부를 하기 싫어해도 학교에만 즐겁게 다녀준다면, 혹은 학교에 다니기 싫어해도 공부라도 즐겁게 해 준다면, 걱정이 좀 덜 할 텐데 말인데요. 이런 걱정을 가지신 부모님들 지금 주목해보세요! 읽기 쉽게, 몇 가지 키워드를 통해 알려드릴게요.


①아이가 다니는 학원이 몇 개 인가요?

 

의외의 키워드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 수도 있겠어요. 그러나, 15년간의 상담 기간 동안, 이에 해당되는 아이들을 여럿 보았어요. '아이가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훨씬 많은 수의 학원 혹은 사교육을 받느라 번아웃(burn out)이 온 경우에 해당돼요. 어른들도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하게 되면 기력이 다해 아무것도 하기 싫어질 때가 있죠. 아이들도 마찬가지예요.

 

 

②놀 시간이 충분한가요?

 

첫째 키워드와 비슷한 맥락이죠. 놀 시간이 지나치게 부족한 상태에서 학교에 다니고 공부하고 있지 않나요?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즐거운 시간을 보내야만 에너지를 충전해서, 그 충전한 힘으로 학교도 가고 공부도 할 수 있어요. 다니고 있는 학원 개수도 충분하고 놀 시간도 충분한데도 공부도 다 싫어 하나요? 그렇다면 다음의 키워드도 살펴보세요.

 

 

③아이의 언어능력이 어느 정도인가요?

 

아이가 본인의 생각을 말로 잘 표현할 수 있는지,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언어능력이 갖추어져 있는지 체크해 보세요.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에 배가 고프고 화장실에 가고 싶다는 등의 기본적인 발화 능력에 문제는 없으나, 본인의 생각이나 처한 상황에 대해서 말로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또한 활자를 읽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읽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어요. 방금 말씀드린 두 가지의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이 학교와 공부를 다 거부할 확률이 높아요.

 

 

④친구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확인해보셨나요?

 

친한 친구는 있는지, 친한 친구는 없더라도 같이 놀 수 있는 친구가 있나요? 친구를 집으로 초대해서 엄마가 있는 상태에서는 잘 노는데, 집이 아닌 곳 그리고 엄마가 없는 곳에서는 또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어요. 학교에서 친구 관계가 어떤지 담임선생님께 확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⑤부모님에 대한 반항심리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공부도 잘하고 학교에도 잘 다니기를 바라요. 아이들이 반항하고 싶을 땐, 부모가 본인들에게 원하는 것을 하기 싫어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어요. 아이가 부모님께 반항하고 싶은 심리가 있는지, 아이와 부모님과의 관계가 안정적인 편인지 체크해보세요.


공부와 학교를 싫어하는 아이들과 관련된 다섯 가지 키워드를 말씀드렸어요. 학원 개수를 조정하고, 아이의 놀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주며, 아이가 여러 가지 상황에서 대응할 수 있는 말을 알려주고 읽기 능력을 키워줘요. 그리고 같이 놀 수 있는 친구가 있는지 체크하고 친구관계도 도와줘요. 부모 자녀 관계도 되돌아보며,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생각해보고 실천해보세요.

 

 

마지막으로 두 가지를 더 말씀드릴게요.

먼저 앞서 말씀드린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지능검사를 포함한 종합 심리검사를 추천드려요. 지능검사를 통해 아이의 문제 해결 능력 중 잘하는 부분과 부족한 부분에 대해 알 수있어, 아이의 능력 중 어떤 것을 좀 더 보강하면 좋은지 알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어휘력과 상식은 양호한 편인데, 일반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메뉴얼이 부족하다고 결과가 나오기도 해요. 이런 아이들은 겉으로 봤을땐 말도 잘하고 글을 읽어도 무슨말인지 이해도 곧잘하지만, 문제가 생겼을때는 정작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혼자 어려움을 겪고 있을수도 있어요. 또한 투사검사를 통해 아이가 말로는 다 표현할수 없는 속마음을 알수 있게 돼요.

 

다음으로, 아이의 장점을 인정해주고 잘하는 것을 개발해주세요. 공부와 학교 모두 싫어하는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을 수밖에 없어요. 아무래도 지적을 많이 받다 보니 당연한 결과예요. 아이들이 관심을 갖고 좋아하는 것이나, 조금이라도 잘하는 것이 있다면 인정해주시고, 긍정적인 강화를 통해 아이들에게 힘을 주세요. 종이접기를 잘한다, 혹은 공기놀이를 잘한다 등의 소소한 작은 장점에도 긍정적인 지지를 보내주세요. 그것을 토대로 아이가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을 수 있어요.

 

허그맘 허그인 부천상동센터

> 네이버 예약 바로가기 <

 

전화 : 032-713-9119
문자 : 010-7532-3119

카카오톡 ID : hugmom31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 허그맘 부천센터


https://www.hugmom.co.kr/branch/main/main.html?jijummid=bucheonsangd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