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천아동심리상담센터_규칙을 지키기 싫어하는 아이에게 훈육이 필요할까요?

가정이란 울타리는 2명 이상의 어른과 아이가 함께 생활하는 작은 생활 공동체이기도 하며 그 안에는 부모와 자녀라는 관계가 존재해요. 부모는 자녀의 발달과 가정의 질서, 그리고 사회적응을 위해 규칙을 정해요. 기본적인 가정생활 규칙에서부터 자녀의 유치원과 학교에서의 사회규칙들을 알려주고 실천하도록 도와줘요. 그리고 자녀가 규칙을 안팎으로 잘 지켜서 문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도 커요.

 

 

그렇다면 규칙을 지키지 않을 때마다 아이에게 즉시 훈육해야 할까요?

 

 

규칙을 잘 지키는 것은 필요한 거예요. 그래서 훈육도 필요해요. 그러나 규칙을 지켜야 하는 아이의 내면부터 살펴보셔야 해요. 부모와의 관계가 불안정하면 아이들은 규칙을 세운 부모의 말을 듣기가 힘들어져요. 즉, 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 아이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부모 자녀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달린 거예요. 규칙을 지키지 않는 아이에 대해 바로 훈육하기 전에 내 아이의 정서나 다른 이면들을 먼저 알아보고 이해해야 해요.

 

 

규칙을 지키는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어요.

 

 

①충동성

 

규칙을 지켜야 하는 것은 알지만 아이의 나이가 어릴수록 충동성향은 더 많아요. 발달에 따른 충동성은 점차적으로 성장을 통해 나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훈육과 격려가 필요해요. 그러나 어느 정도 인내와 자기 절제가 갖춰져야 할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스스로 제어가 힘들 수도 있어요. 그럴 때에는 부모의 단호한 교육이 필요해요.

 

 

②규칙의 내용과 일관성

 

정해진 규칙의 내용이 내 아이의 발달에 맞아야 해요. 간혹 부모님의 높은 기대에 따라 규칙을 정해서 아이가 지키기 힘들어질 수 있어요. 심화되면 부모 자녀 간의 관계까지 틀어질 수 있기에 규칙의 내용은 중요해요. 그리고 적절한 규칙이 정해지면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도 일관되게 규칙을 지키도록 해야 해요. 상황에 따라 규칙이 자주 변하게 되면 아이는 규칙의 중요성을 잃어버리고 하나마나한 것이라고 여기게 돼요.

 

 

③부모 자녀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기.

 

규칙을 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부모 자녀의 관계는 끈끈해 있어야 하며 규칙은 사랑이 전제되어야 해요. 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 아이로 인해 지친 부모는 결국은 사랑을 표현할 힘마저 잃어버리게 되고 저절로 아이는 사랑의 결핍이 생겨버릴 수 있기 때문이에요.

 

 

아이들은 계속 성장해나가야 하기 때문에 부모는 지속적으로 보듬어주고 채워주고 가르쳐 주어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가 항상 사랑에너지로 충전되어 있어야 해요. 만일 그렇지 않다면 회복이 먼저이며 규칙은 그다음이에요. 모두가 결핍된 상태에서 규칙을 지키려 한다면 오히려 안정된 질서가 아니라 사랑이 없는 불안정한 상황들이 나타날 수 있어요.

 

 

 

*규칙을 위해 내 아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아이를 위해서 규칙이 필요한 거예요. 규칙을 지키는 과정에서 아이가 안정감과 자기 성취를 느끼도록 도와주셔야 해요. 더 나아가 자기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닌 자신이 속한 가정과 집단을 위해 지키는 마음을 배울 수 있도록 해주세요.

 

Adviser_허그맘 허그인 심리상담센터 부천 상동점 정아람 심리상담사

 

허그맘 허그인 부천상동센터

> 네이버 예약 바로가기 <

 

전화 : 032-713-9119
문자 : 010-7532-3119

카카오톡 ID : hugmom31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 허그맘 부천센터


https://www.hugmom.co.kr/branch/main/main.html?jijummid=bucheonsangd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