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이치료

부천아동심리상담센터_ 분리수면, 몇 살 부터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희 아이는 7세 남자아이인데, 아직 저와 함께 잠을 잡니다. 4,5살 때쯤 한 번 분리해 보려고 방도 만들어줬지만 실패했어요. 그 이후로 계속 같이 자고 있는데 언제쯤 분리해 주면 좋을지, 언제부터 혼자 잘 수 있을지 고민이에요. 아이의 분리수면에 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분리 수면은 물리적으로만 혼자 자는 것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독립성을 기르는 데에도 큰 영향을 주게 돼요. 우리나라의 수면교육은 외국과는 다르긴 해요. 외국에서는 갓난아기 때부터 분리수면 교육을 시키곤 하는데, 우리나라 문화에서 이를 시도하기에는 어렵지요. 아이의 애착형성에 혹여나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지 걱정이 되거나 오히려 부모님이 아이들과 분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는 등 여러 이유가 있겠죠. ●.. 더보기
부천아동전문상담센터_아이에게 토론 학습이 좋은 이유 우리나라는 선생님이 앞에서 수업을 하면 아이들이 듣고 배우는 주입식이 일반적이에요. 그러다 보니 선생님의 수업진도를 따라가는 데에 시간을 보내게 되고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드러내는 것은 생각도 할 수 없어요. 선생님의 수업을 듣고 지식을 쌓는 중요함도 있지만 그 지식에 대한 자기만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은 더 중요하며 아이의 생활과 미래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줘요. 토론학습이란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일까요? 토론이랑 서로 다른 생각과 의견을 가진 친구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나 준비한 자료를 근거로 들어 상대 친구를 설득하는 과정이에요. 서로 질문하고 주장하면서 어떤 의견이 더 나은지 논리적으로 겨루게 되는데 자칫 격해져 감정싸움으로 번지는 말싸움이 아닌 논리적인 경쟁으로서 상대에 대한 존중과 .. 더보기
부천영유아심리상담센터_ 2세, 자기 주장이 또렷해지는 시기 Q : 16개월 된 활동적인 남아의 엄마예요. 아이가 성장하는 것을 바라보면 놀랍고도 뿌듯하지만, 돌 지나고 아이의 활동 반경이 점점 넓어지고 주장과 떼쓰기가 늘어나면서 아이를 키우는 것이 체력적으로 더욱 힘들어지고 위험한 순간도 더 많아졌어요. 어디까지 아이의 주장과 요구를 허용해주고 어느 선에서는 제한해야 하는지 애매할 때가 많아 고민하다 보니 어느 순간 아이에게 일관성 없게 대하는 저 자신을 발견학 되었어요. 아이의 동일한 주장을 어떤 경우에는 허용해주고 어떤 경우에는 제한하는 식으로 말이에요. 아이와의 갈등이 하루에도 몇 차례 일어나는데, 갈등을 일으키는 아이 행동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아요. 다 흘리고 묻히면서도 혼자 밥 먹으려고 하기, 자신이 좋아하는 특정 컵만 사용하려고 하기, 놀잇감인 델타.. 더보기
부천영유아심리상담센터_아이 자위 행동 때문에 너무 당황스러워요 Q : 30개월 아들을 키우는 엄마예요. 요즘 따라 부쩍 아이가 혼자 심심하거나, TV를 보는 경우, 혹은 잠을 잘 때면 유독 손이 성기 쪽으로 가서 만지작거려요. 엄마인 제가 당황해하며 '하지 말라'고 했더니, 그때 잠시 안 하는 척하다가 제가 보지 않고 있으면 다시 손이 바지 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종종 보곤 해요. 우리 아이 왜 이런 거죠? A : 아이가 성기를 만지는 행동에 어머니께서 많이 놀라셨을 것 같아요. 아이가 태어나 자라면서 스스로 몸을 움직일 수 있게 되고 몸에서 느껴지는 신체의 감각을 자연스럽게 알아가게 돼요. 보통 18~24개월 정도에 기저귀를 떼고 대소변 가리를 시작하면서 아이는 가벼워진 자신의 몸 구석구석을 더 탐색해보고 싶은 호기심을 갖게 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자연스레 성기.. 더보기
부천아동심리상담센터_우리 아이 틱 증상,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요? 틱은 어떤 증상인가요? 틱에는 음성틱과 운동틱이 있어요. 자녀가 반복적으로 어떤 움직임과 소리를 내는지 잘 관찰해서 음성틱과 운동틱을 구별해야 하지요. 음성틱은 코를 킁킁거리거나, 알 수 없는 이상한 유형의 소리를 내는 증상이에요. 운동틱은 얼굴, 팔, 다리 등 신체부위를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흔드는 증상이에요. 만일 음성틱과 운동틱이 동시에 발현하여 1년 이상 간헐적으로 발생이 된다면 이는 뚜렛장애라고 하며, 대게 틱 증상이 악화되면서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요. 그렇다면 틱 증상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아이가 스스로의 의지로 조절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목적성을 갖고 나타나는 행동은 아니에요. 뇌의 좌우 불균형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내부적인 요인과 외부적인 요인이 있어요. 내부적 요인은 선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