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천상담예약

부천성인심리상담센터_가슴이 콱 막혀오고 호흡이 가빠져요. 여기, 전 세계를 대표하는 한 마을이 있어요. 마을에는 성인남녀 100명이 모여있고, 특정한 마음의 병을 겪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 사람들은 생각보다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마을 사람 100명 중 11명이나 되기 때문이에요. 그 말인 즉, 당신이 이 마을에서 10명을 만나면 그중 1명은 이 마음의 병을 가지고 있는 거예요. 이 흔한 마음의 병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공황장애'예요. 그렇습니다, 공황장애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어요. 그러나 마음의 병을 스스로 잘 안 밝히는 한국 사람들의 정서적인 면 때문에 우리는 주변 사람들보다는 잘 알려진 연예인들의 소식으로 공황장애를 듣곤 하죠. 한 번쯤은 들어봤을 이 '공황장애'란 도대체 무엇일까요?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은 주로 '공황발작'을 경험해.. 더보기
부천부부심리상담센터_부부사이가 아이에게 주는 영향은? 행복한 가정 생활을 꿈꾸고 한 결혼. 그러나 현실에서는 그것이 생각보다 녹록지 않아요. 거기에 우리를 바라보는 아이까지 있다면 이야기는 더 심각해지게 돼요. 아이는 부모를 통하여 세상을 배우고 알아가요. 그런데 부모가 아이 앞에서 매일 싸우기만 한다면 아이는 무엇을 보고 배울까요?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이 미숙해져요.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이 미숙해질 시 여러가지 문제 상황이 나타날 수 있어요. 나의 감정에 솔직하지 못하니 내가 슬프거나 화가 나는 부정적인 감정이 생기면 무조건 타인에게 그 화살을 쏘면서 타인 탓을 하게 돼요. 그리고 행복하거나 기분 좋은 일이 생겨도 그것을 수용하지 못하게 돼요. 수용하지 못하고 즐거워하지 못하게 돼요. 사회성이 발달하지 못해요. 싸움을 보고 자란 아이는 다른 사람과 어떻게.. 더보기
부천영유아심리상담센터_우리아이, 올바른 배변 훈련은? 아이가 대소변을 가린다는 것은 새로운 발달단계에 들어섰음을 의미하지요. 보통은 아이가 가장 자연스럽게 대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27~36개월 사이인데요, 이때가 되어야 비로소 항문 근육과 정서 발달이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받아들일 만큼 성숙해져요. 아이가 배변 훈련을 시작하는 시기는 언제가 좋은가요? 정해진 개월 수가 있는 것은 아니고, 아이에게 대소변 가리기가 준비되었다는 신호들이 나타났을 때 시작하는 게 좋아요. 아이가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는 무엇을 보고 알 수 있나요? 예를 들면, 아이가 티셔츠를 입혀줄 때 팔을 들어주는 등 엄마를 돕는 행동을 하거나, 율동과 같은 흉내내기를 잘하거나, 장난감을 바구니나 상자 안에 넣는 것을 좋아하는 등의 신체 활동을 할 수 있을 때! 또한 간단한 지시를 이해하고 따.. 더보기
부천아동심리상담센터_우리 아이, 상담이 필요할까요? 요즘 같은 시기에 아이들 데리고 집에서 있자니 여러 가지 생각이 많이 드시죠? 때론 우리 아이가 상담이 필요한 지 궁금증이 들어, 주변에 조언을 구하거나 인터넷을 찾아봐도 명쾌한 답을 얻기가 쉽지 않아요. 어떤 경우에 상담이 꼭 필요한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지금부터 알려드릴게요~ 1.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힘들어하는 경우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아이가 가진 심리적인 문제 때문에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힘들어지는 경우예요. 여기서 말하는 일상생활이란 일단 먹고 자고, 배변하는 문제를 말해요. 불안하거나 우울한 문제 혹은 지나치게 산만한 문제, 기타 다른 문제 때문에 밥 먹는 양이 감소해요. 잠을 이루지 못해서 밤새 뒤척이다가 새벽에서야 잠이 들어요. 그리고 소변이나 대변을 잘 가렸는.. 더보기
부천부부심리상담센터_대화 단절인 맞벌이 부부, 어떻게 해결할까요? " 사소한 일에도 고마움을 표현해보시면, 작은 관심이 쌓여 신뢰가 되고 서로의 간격이 좁아져요. " 점점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맞벌이 부부들이 늘어가고 서로 직장일로 바쁘다 보니 부부끼리 자주 대화할 시간이 부족해지고 있어요. 소통의 부재는 자연스레 부부간에 오해를 만들거나 갈등을 야기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대화를 방해하는 요인부터 찾아야 해요. 맞벌이 부부라고 모두 대화가 부족하고 갈등이 생기는 것은 아니예요. 그럼 어떤 부부에게 대화 단절이 보여지는지 알아봅시다. 대화가 단절된 맞벌이 부부의 특징은 크게 3가지로 보여집니다. 1. 가사분담을 하지 않는 부부 똑같이 직장 일을 하지만 남편이 가사 일을 전혀 분담하지 않을 경우 문제가 돼요. 전통적인 가정 내 여성의 역할과 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