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천성인상담

부천성인심리상담센터_산후우울증, 전 부모될 자격이 없는 걸까요? 부모가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어렵게 가진 아이라 너무 소중했지만 임신 기간 내내 몸이 너무 힘들었고, 우울감이 좀 있긴 했어요. 출산 후, 저에게 너무 소중한 아이였지만 모성애가 막 샘솟는 느낌은 아니었어요. 병원과 조리원을 거쳐 집에서 아이 육아를 시작하는데, 아이는 잘 먹지도 않고, 잘 자지도 않고 계속 울기만 했어요. 처음에는 아이가 안타깝고 어디가 아픈가? 걱정이 되더니 시간이 점점 지나면서 걱정보단 짜증이 많이 나기 시작했어요. '왜 내 아이는 잘 자지도 못 자고 이러나?', '왜 이렇게 나를 힘들게 하나?'라는 생각에 원망의 마음이 들기 시작했고, 내 아이가 미운 마음도 들기 시작했죠. 이후 작은 일에도 화가 나고 금방 화가 폭발하기 시작했어요. 아이가 칭얼대고 잠을 잘 못 자면 폭발해서 .. 더보기
부천커플심리상담센터_예비부부, 결혼 전 다툼이 잦은 이유는? 결혼은 시대적 흐름이나 사회현상에 따라 그 의미도 조금씩 달라지는 것 같아요. 과거의 결혼은 경제적 안정, 사회적 지위 획득, 자녀 출산 등의 실용적인 면이 우선시되었다면, 현재에 와서는 부부간의 평등, 애정, 자아성장 등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측면이 강해졌어요.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는 예비부부가 결혼은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서로의 의견차이, 양쪽 집안의 분위기나 가치관 차이, 결혼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 등의 복합적인 문제를 낳기도 해요. 예비부부의 70%가 결혼 준비과정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고, 심하면 파혼까지 가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는 점에서 예비부부가 겪는 스트레스와 다툼은 가벼운 문제가 아닐 수 있어요. 예비부부들이 다투게 되는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요인은 무엇.. 더보기
부천성인심리상담센터_ 공황장애를 앓고 있지만, 사실 괜찮은 척 하는 나? ◎ 치료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적극적인 치료의지 갖기 - 부정적 인지, 사고, 행동 수정 ◎ ●공황장애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일까요? 2013년 정신질환의 진단 분류 편람 5편에서는 성인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불안 질환 중 하나로 공황장애를 포함시키고 있어요. 공황장애는 공황발작이 주요 특징인 정신질환이며, 특별한 이유 없이 극단적인 공포심과 가슴 답답함, 숨참, 심장박동의 빨라짐, 식은땀 등의 신체증상을 보여요. 이러한 신체증상은 마치 죽을 것 같은 극도의 불안을 보이기 때문에 주관적인 고통이 심하고 또다시 발작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예기불안을 갖게 돼요. 공황장애는 보통 광장 공포증이 함께 따라오는데, 버스, 터널, 지하철, 백화점 등과 같이 사람이 많고 밀폐되고 시끄러운 공간에 있을 때 주로 나타나요.. 더보기
부천심리상담센터_사회에서 인간관계 스트레스 어떻게 하죠? 안녕하세요 부천심리상담센터 허그맘 허그인 부천 상동점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사회생활을 하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입니다. 인간관계가 어려운 이유는 뭘까요? 먼저, 양육과정에서 부모와의 애착형성이 잘 되지 않았을 때. 태어나서 최초로 인간관계를 경험하는 순간은 부모와 만남입니다. 어릴 때 애착 욕구를 충분히 채워야 사랑을 받는다고느끼는데, 결핍이 되었을 시 성인이 되어서 부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게 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자존감이 낮아 지나치게 타인을 의식하여 위축되거나 인정 욕구에 목말라 있을 때. 사람은 모두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습니다. 그러나 낮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을 통해서만 인정받기를 원합니다. 또한 본인이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알리려고 필사적으로 노력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