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가족상담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천가족심리상담센터_황혼육아 조부모와 맞벌이 부부의 양육갈등 부부와 조부모 양육 "세대 갈등이 아닌 두 배의 행복으로"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할머니, 할아버지가 육아를 도와주시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지요. 아이를 놓고 일을 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조부모님의 양육 도움이 타인에 비해 안심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오히려 가족이기에 부딪히고 갈등이 생기는 부분도 많아요. 부부의 입장에서는 직접 케어를 하지 못하다 보니 아이에 대한 걱정이나 아쉬움이 있고 부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양육관을 조부모에게 기대하게 돼요. 하지만 조부모님이 양육을 하던 때와 요즘은 방식이나 생각의 변화가 많다 보니 서로의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고 갈등이 생기는 요소가 되죠. 예를 들면 아이가 스스로 해보도록 하는 걸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부와 아이가 안전한 것을 우선으로 하는 조부모의.. 더보기 부천부부심리상담센터_배우자의 외도 어떻게 해야죠? 최근 배우자의 외도 문제로 상담을 받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어요. 근래 실시된 한 조사 결과는 외도 문제의 심각성을 잘 보여주는데요. 성인남녀 1,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남성 중 50.8%가 외도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여성은 9.3%가 외도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어요.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30대가 42.3%, 40대 48.4%, 50대 52.5%, 60대 이상 56.7%가 외도 경험이 있다고 해요. 그리고 50대 이상의 외도 경험자들에게 외도 상대자 수를 물어본 결과, 남성은 평균 12.5명, 여성은 4.3명으로 나타났어요. 이것은 외도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해요. 외도는 부부 모두에게 크나큰 상처가 되지요. 특히 배우자.. 더보기 부천부부심리상담센터_양육 가치관이 다른 우리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저는 30개월 아이를 가진 엄마예요. 최근 저에겐 고민이 생겼어요. 아이가 성장할수록 남편과 저의 마찰이 잦아진다는 것이죠. 아이가 아기 때는 큰 문제는 없었는데, 아이가 자아가 커지고 자신이 하겠다는 자기 고집이 커지면서 아이를 통제하거나 훈육하는 문제로 자주 싸워요. 예를 들어 제가 요리할 때 아이가 와서 가스불을 켜고 만지려고 할 때도 저는 불은 위험하니 절대로 만질 수 없다고 하지만 남편은 아이가 호기심을 갖고 해 보려는 거는 무조건 해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어차피 어른이 옆에 있는데, 뭐가 문제냐는 식이죠. 그리고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훈육을 할 때 아이가 아빠한테 달려가는데, 아이의 아빠는 엄마가 무섭게 했어? 라면서 아빠가 엄마 못하게 해 줄게. 이런 표현을 서슴없이 하기.. 더보기 부천부부심리상담센터_부부갈등, 내가 문제일까요? 상대방이 문제인걸까요? 신혼 초기에는 갈등이 생기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서로가 조금씩은 참거나 받아들이죠. 성격차이, 생활습관 등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기도 하며 자주 다투기도 하지만 금세 화해해요. 하지만 3년 정도 지나면 서로에 대해 익숙해지고 편한 관계가 되면서 권태기가 찾아와요. 긴장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죠. 그러다 보니 상대 배우자에게 함부로 말을 하거나 행동하게 돼요. 신혼 초에는 안 그랬는데 상대 배우자가 변했다고 말해요. 변한 것이 아니라 신혼 초에는 한쪽이 양보를 하거나 받아들이기 때문이에요. 시간이 지날수록 차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갈등이 생기게 돼요. 더 이상 한쪽만이 양보를 하거나 받아들여서는 해결이 될 수 있는 사항이 아니게 돼요. 서로가 노력하며 부부가 같이 .. 더보기 부천성인심리상담센터_산후우울증, 전 부모될 자격이 없는 걸까요? 부모가 어떻게 해주면 좋을까요? 어렵게 가진 아이라 너무 소중했지만 임신 기간 내내 몸이 너무 힘들었고, 우울감이 좀 있긴 했어요. 출산 후, 저에게 너무 소중한 아이였지만 모성애가 막 샘솟는 느낌은 아니었어요. 병원과 조리원을 거쳐 집에서 아이 육아를 시작하는데, 아이는 잘 먹지도 않고, 잘 자지도 않고 계속 울기만 했어요. 처음에는 아이가 안타깝고 어디가 아픈가? 걱정이 되더니 시간이 점점 지나면서 걱정보단 짜증이 많이 나기 시작했어요. '왜 내 아이는 잘 자지도 못 자고 이러나?', '왜 이렇게 나를 힘들게 하나?'라는 생각에 원망의 마음이 들기 시작했고, 내 아이가 미운 마음도 들기 시작했죠. 이후 작은 일에도 화가 나고 금방 화가 폭발하기 시작했어요. 아이가 칭얼대고 잠을 잘 못 자면 폭발해서 .. 더보기 부천가족심리상담센터_ 한지붕 다른 가족, 어색한 가족관계 해결법은? 요즘 인기 있는 예능 프로그램 중에는 유명인들과 그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는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어린 자녀들과의 모습뿐만 아니라 이제는 다 성장한 자녀들과의 일상 모습 등 자녀의 연령은 다르지만 한 가족의 일상생활의 상호작용을 우리는 다소 리얼하게 볼 수 있어요.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인기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스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가족 안에서는 아내이자 남편, 엄마이자 아내죠.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는 그들의 평범한 일상생활을 볼 수 있다는 호기심도 있어요. 또한 시청자들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있는지도 모른답니다. 자녀들과 같은 공간에 있지만 대화 없이 TV만 보고 있는 아빠, 일상생활의 안부만을 형식적으로 묻고 있는 부부, 자녀가 해야할 일들을 계속 체크하고 다그.. 더보기 부천부부심리상담센터 _ 부부가 함께하는 명절 증후군 극복방법은? 명절이 다가오면 언제부터인지 행복한 기다림보다 긴장의 시작으로 다가오고 느껴지시나요? 혹은 명절이 지나고 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후유증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으세요? 그렇다면 '명절 증후군'인지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명절증후군'은 대한민국에서 명절을 보내면서 생기는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적, 육체적인 현상을 말해요. 다양한 증상들이 있지만 대게 명절을 앞두고부터 명절이 끝난 이후까지 머리가 아프고 음식을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되는 경우, 혹은 밤에 잠이 잘 오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설명하기 힘든 다양한 신체증상 등을 호소하죠. 개인적인 증상들이 호소되다 보면 부부싸움, 고부갈등, 아이들에게 비 일관적 훈육 등으로 자연스레 2차적인 문제까지 발생하게 되죠. 이러한 문제들을 경험하셨거나 이 밖에도 다.. 더보기 다가오는 '설' 부부갈등/고부갈등 상담받으세요~! [ 부천부부가족심리상담센터 허그맘/허그인 부천상동센터 ] 안녕하세요~ 부천부부가족심리상담센터 허그맘/허그인 부천상동센터입니다 :) 어느덧 1월이 지나고 설명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명절 준비로 인한 부부 트러블, 고부갈등으로 휴일이 긴것이 마냥 좋지만은 않은 분들도 계실텐데요! 누구의 집에 먼저가고 어느정도의 기간동안 머무르고 올것인지, 나 대신 배우자가 대신 해주길 바라는 효도, 내 마음은 전혀 알아주지 못하는 배우자 등 여러가지 문제로 인한 부부갈등을 겪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 내 친구네 아들 며느리는 이번에 해외여행 보내준다고 하더라 " " 첫째네는 이러는데 너네는 왜그러니? " 친구분의 자녀, 다른 며느리와의 비교 ! 챙겨주는 자식 따로 챙김받으려는 자식 따로여서 시어머니께 서운함을 느끼는 " ..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